기화반하후박탕 위식도역류에 좋아요

Posted by hisapa
2016. 9. 22. 17:30 추천 생활 정보


 

 

 

 

 

기화반하후박탕 위식도역류에 좋아요

 

 

 

 

 

 

일반적으로 위식도역류질환을 가친 환자의 25% 정도가
이비인후과적인 이상소견이나 증상을 가지느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이비인후과 외래를 방문하는 환자의 4~10%가 역류성 식도염과
관련된 증세를 보이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어요.
위식도역류에 의한 이비인후과적인 증상은
목쉼, 기침, 식도이물감, 헛기침의 순으로 흔하지요.

 

 

 

 

 

 

후두의 점막은 정상적으로 산성인 위액과 접촉하지 않으며
타액에 의해 중화될 수 없으므로 역류된 위내용물에 대한
방어기전이 매우 약한데, 특히 밤에는 상부식도 괄약근의 압력이
낮에 비하여 낮으며 기침이나 타액분비와 같은 방어기전도 약해지므로
위내용물의 인후로의 역류와 이에 의한 부종이나 염증과 같은 손상이 쉽게 일어나요.

 

 

.

 

기화반하후박탕은 반하, 복령, 후박, 소엽, 생강의 다섯가지 약물로
구성된 처방으로 기분이 울적하고 인후, 식도부에 이물감이 있으며,
때로 동계, 어지러움, 오심 등을 가진 다음 체증으로 불안신경증,
입덧, 쉰음성, 신경성 식도협착증, 불면증 등에 쓸 수 있다고 해요.
이는 모두 기의 울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요.

 

 

 

 

특히 반하후박탕 적응증인 매핵기 혹은 쉰 목소리 등은
위식도역류질환으로 인한 이비인후과적 증상,
즉 역류성후두염에 해당하는 증상들이어서
역류성후두염에 기화반하후박탕을 사용해 볼 수 있어요.
물론 처방 전 정확한 진단이 동반되어야 하지요.

 

 

 

 

위식도역류지환의 대표적인 증상이 흉통과 탄산인데,
이를 '동의보감'에서 찾아보면 위심통 조문과 탄상 조문이 해당되요.
특히 위심통문의 청울산은 반하, 진히, 백복령, 창출, 변향부자, 신곡,
황련강즙초, 치자강즙초, 천궁, 건강초흑, 감초, 생강 이렇게 13가지 약재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10가지 약재가 동일해서 처방의 성격이 거의 같으며 두 처방 모두
위식도역류질환에 적절한 처방이라고 볼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