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이어 적정 공기압과 상태특징

Posted by hisapa
2015. 1. 21. 17:30 추천 생활 정보


 

 

 

 

                                                 타이어 적정 공기압과 펑크 대처법

 

 

 

 

 

 

 

 

 

 

 

 

 

사람의 몸중에서 어떻게 보면 하루의 대부분을 가장 고생하면서

홀대 받는 부위가 있죠. 발입니다. 자동차에서도 마찬가지인데요.

바로 타이어 관리입니다. 자동차에서 운전시 안전과 승차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부위이면서도 거의 대부분의 운전자가 타이어에

무심한것도 사실이죠.

 

 

 

 

 

 

 

우선 자신의 타이어가 얼마나 적정 공기압을 유지하고 있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다는 점인데요. 우선 사진에 보이듯이

차량의 무게에 적당히 눌려서 퍼져있는 모양이 적정 상태입니다.

 

 

 

 

 

 

 

정상의 경우 타이어가 지면에 닿는 부위가 가장 적당히 닿게 되면서 조향성과

승차감이 가장 좋습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것은 편마모나 타이어의 마모가 가장 적은

상태로 타이어의 수명도 가장 오래 유지된다는 사실!

 

 

 

과대 상태의 경우 타이어가 지면에 적절히 닿게 있지 못한 상태로 중앙부위만 편마모가 심히

발생하게 되면서 노면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받게 되면서 승차감이 크게 떨어지게 됩니다.

연비는 조금 증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과소상태의 경우에는 면적에 타이어가 필요이상으로 닿게 되면서 양쪽 끝부위의 편마모가

크게 발생되면서 핸들 조향성이 크게 떨어지게 되는데요. 고속주행시 발생하게 되는 스텐딩 웨이브

또는 비온뒤 젖은 땅에서 수막현상으로 인한 슬립의 위험이 가장 큰 상태라고 합니다.

 

 

 

 

 

 

내차량 타이어 적정 공기압은?

 

 

 

 

 

보통 차종에 장착되어 있는 차량과 타이어의 종류에 따라서 적정 공기압은

모두 다른 차이를 보인다고 하는데요. 간단히 타이어의 옆면을 보면 타이어의

최대 공기압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그 공기압의 80% 선이 적정선이라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을듯 해요.